카테고리 없음

2030년 전세계 노조가 없어지는 10가지 이유

뉴 턴 2010. 10. 29. 16:05
2030년 전세계 노조가 없어지는 10가지 이유

 

미래사회는 노조가 소멸한다. 하지만 노조는 노조와 비슷한 다른 1인기업들간의 트위터 페이스북 네트워크 등이 대체할 것이라고도 예측한다. 노조 소멸의 이유로는 노조가입 인구가 지구촌 평균 12% 정도이며 10% 이하로 내려가면 대표성이 소멸되므로 노조의 위치가 의미가 없어진다는 것.

미래사회는 노조가 불필요한 사회가 된다. 다른 다양한 네트워크 속에 포함되며 노조로 노동자권익을 요구할 수없는 사회체제가 된다. 미래사회는 일자리 자체가 소멸하는 노동의 종말이 온다. 2030년에는 30%만 일자리를 가지고 2050년에는 5%만 일자리를 가진다. 하지만 정부나 국제기구 등의 신사회주의적 복지로 굶는 사람은 없다. 서비스산업시대가 오며 제조업이 소멸하는데 노조는 대부분 제조업에 있다. 노조 전임자 임금이 소멸하며 노조 사무실 근무자가 줄어든다.

또 노동자로 불리기 싫어하는 전문인력들이 대세를 이룬다. 고령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고령 노동력이 증가하는데 고령화시대 노조는 필요가 없다. 의료보험 사회보장 등이 발달하여 고령인구를 책임진다. 비정규직을 선호하는 미래사회가 온다. 호주 여성들은 2008년에 이미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을 더 많이 선호한다고 밝힌 보고서도 있다.

미래의 노조 이미지는 납세자, 기업인, 국민의 적으로 굳혀진다. 노조원 물건보다 미혼모 장애인 물건을 더 많이 사주는 미래사회가 온다. 정치구조 변화로 노동력 유연화가 국제적인 압력으로 들어와 노조활동을 제한한다. 결국 다가오는 신사회주의는 노조가 불필요해진다. 미래사회는 여성이 부상하는데 여성은 노조를 싫어한다. 이동성 강화로 모든 사람들이 너무 많이 움직여 하나의 노조에 가입해야 의미가 사라진다. 노조소멸의 이유를 더 상세히 들여다보자. 

노조는 백인 블루칼라들이 만든 것이다. 현재 백인이 블루칼라 즉 노동자가 많지않다. 대부분은 라틴계나 동남이인들이 공장 노동자로 일한다. 이들은 노조가입 조건들이 맞지 않고 노조에 별 관심이 없다. 제조업이 미국은 현재 10% 정도이며 10년후는 2% 정도로 소멸할 것이라고 한다. 산업시대는 공장 짓는데 수십년이 걸렸고 공장 주변에 노동자들이 정착하고 수십년을 함께하기 때문에 노조결성이 손쉬웠다. 공장을 증설하고 주변에 거주지역이 늘어나고 산업체 하나가 형성되면 수십년을 그곳에서 정착하던 인구들이 노동조합에 가입하였다.

하지만 서비스산업시대에는 공장이 아닌 작업장이나 가게를 수시로 옮기거나, 낮 근무 밤 근무 등 서비스산업의 근로자들은 함께 머리를 맞대고 노조를 결성할 인간관계, 시공간 조성이 되질 않는다. 서비스산업은 수시로 제품이나 서비스가 바뀌어서, 사라지는 것들이 많다. 서비스산업은 제조업처럼 고정된 지역을 형성하지않고 수시로 거점을 이동하거나, 수시로 소멸해 노동조합 가입인구가 적다. 특히 서비스산업에는 타 종족 즉 동남아계통 등 이민·이동인구가 많이 종사한다.

유럽은 이미 90% 기업이 10인이하 기업이라고 한다. 이처럼 소규모 고용인을 가지고 일을 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모든 물건을 한 기업에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곳 저곳에서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 1인 기업, 1인 창업이 늘어나면서 혼자 일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등 사무실없이 스마트폰으로 일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증가할 것이다.

사람들이 노동자로 불리기 싫어한다. 고학력 졸업자가 늘어나면서 전문인(professional) 전문가 전문직업인들은 노동자라는 말을 싫어하고 노조라는 어휘를 싫어한다. 노동조합 가입이라고 하면 노동자를 떠올리기 때문에 자신은 전문인이라고 믿고, 노조가입을 하지않거나, 전문인들은 노조에 가입할 길이 없다. 하지만 제조업 소멸과 서비스산업의 급변과 불안정한 행태 때문에, 전문인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난다.

노조가입 인구가 소멸한다. 제조업 소멸, 사회변화에 따른 이동성 강화 즉 사람들의 이동이 빨리 이뤄지고, 전문인이 늘어나고, 해외로 행복이주, 노동이주, 교육이주 등으로 한군데 모여서 노동조합에 가입하고 활동하는 인구가 급격히 줄어든다. 노조가입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대부분 10% 정도를 유지하거나 이미 10% 이하로 소멸하고 있는 중이다.

노조는 국민이나 납세자의 적이라는 이미지가 부상한다. 공공노조나 철도노조 등은 일반인들에게 파업을 통해 자신들의 이익만은 챙기고 일반사회의 질서나 일반인들의 불편을 아랑곳하지 않는다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노조임금이 높아지면 자연적으로 기업은 제품가격을 높여서 소비자들은 더 비싼 제품을 살 수 밖에 없게 되므로, 소비자·납세자들의 적이라는 이미지가 있다.

노조원이 만든 물건을 사지 않겠다는 분위기가 있다. 1900년대 중반 노조활동이 왕성하고 노조가 악덕기업에 대항마로 막 결성이 될 시절에는 제품에 "노조가 만든 물건" 이라고 자랑스럽게 홍보, 선전을 하면 무조건 잘 팔렸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20여년전부터 노조인구 하락과 함께 노조가 만든 물건이라고 하면 사람들이 오히려 외면을 하게 되었고, 미혼모, 장애인, 사회공헌기업, 사회적기업이 만든 물건을 더 선호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노조 조직내의 일자리가 소멸중이다. 노조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노조가입 인구가 내는 노조원의 가입비등이 줄기 때문에 노조 사무실내 일자리가 감소하고 있으며, 사무실에서 노조이 이미지제고, 홍보, 조직과 교육을 시킬 직원이 감소하면서 악순환이 거듭되고 있다.

노조의 살길은 노사화합이나, 기업으로부터 교육파트를 떼어서 은퇴후의 1인기업 창업기술 등을 가르치는 훈련프로그램으로 자체 소득을 만들거나, 다양한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변환해가는 노조, 새로운 모습의 노조, 노조 대체에 관해 연구하여, 대체되는 형태의 노조로 탈바꿈하는 방법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