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대한제국의 군체계와 외교적 노력

뉴 턴 2012. 7. 20. 15:50

 

 대한 제국 관련 군은 찾기 힘들어서 말입니다. 그래서 참고삼아 올립니다.

제가 나름 찾아서 정리해 놓은 것인데 신빙도는 꽤 높습니다.

 

대한제국의 정병론

1898           무관학교    소수정예론,군액증대론   육군참장 백성기

                  군법제정,헌병제도 창설, 봉급제도 개정, 군적제도 정비, 군량의 안정적 조달 등

1900.7        민영환,백성기  :  군법교정지시, 헌법조례작성,헌병대 신설,육군법률서 편성,육군법원편제

                  자주적 군사정책, 무관학교의 필요성 제기

 

징병제실시론의 제기

징병제 관련기사     : 1884   프랑스병력 242만 (상비병50만), 러시아병력 243만 (상비병86만), 이탈리아육군 45만 ,스위스 11+9만 ,터키 상비병 12만 , 네덜란드 상비군6만  1886 프로이센 149만

 1887 영국 90만 ,러시아 600만 , 프랑스 410만 , 독일 270만 , 오스트리아 100만          

 

1901 군부예산 : 정부예산의 40%

군사외교 : 군사고문초빙, 군수물자수입

 

군사력증강 : 정규군증강

1900      청비대비         : 북청지방대를 삼수.갑산.후창 등지 파견 , 삼수.갑산 증원

             서도연변방어   : 해주.황주.안주 지방대를 의주.강계.벽농등지 분산배치. 

             후창대             : 삼수군출동

             북청                : 친위대 600 , 경흥.강화부병력 100

1901      온성 200, 종성 100, 회령 100, 무산 200 , 회령.종성 행영 400     평양진위대대

 

1900       보부상조직     상무사 -> 상비대  1000

1900.6    평안북도 의주.강계. 함경북도 북청. 함경북도 종성.  각각 진위대대    세 진위대는 일개연대

              지방대 :  진위대 통합 . 진위대마다 1000모집,배치

1900.9    평양 1개대대증설 이후 신병2000모집

1900.12  포병2개대대설치, 시위연대 부속 , 포병 1개대대는 산포2개중대,야포1개중대로 편성

              공병1개중대와 함께 친위연대 배속

               치중병 1개중대    :  친위연대부속   군수물자운송

               군악대2개중대     :  1개중대 - 시위연대  1개중대 - 시위기병대

              평양 진위대 1000증원

1902.2    시위대.친위대 6천 ,진위대 7600 , 평양 진위대 3000 , 원수부.헌병.군악.포병제대병 900 총17560

               이후 무관학도 400임관, 2개연대 증설  

               시위대 3개대대, 친위대 3개대대, 포병 1개중대 , 평양진위대 2개대대중 1개대대 ->수도배치

                7개대대 한국군 절반

              포수제 강화 : 의주.강계 포수 모집, 2000 변경방비병  추가 2000모집

 

1900.음12   청비200침입 . 삼수군 주둔 3소대+보호포수 수성

1901.2        청비400침입격퇴    산포대 100신설검토

                  삼수.갑산.강계에서 활약

                  삼수.자성.후창.위원.초산.벽동.강계등

1901           무산군  :  산포 300설치             강홍대 : 확대강화주장

1902.10      이기동 : 징병제안  징병조례작성

                  국민기본권보장, 국민군은 아님,  병농일치제

 

해군창설론

1891.11      영국 : 연안경비용군함 발주

1893.3        강화도 : 해군 사관학교설립,  해군창설 : 청일전쟁계기 중단

                  해군주관부서 신설, 사관교육, 해군병사수 , 경비조달 방안등 제시

집권층      :  병사,재정 이유 반대

 

 

 

중립정책

열강과의 외교, 만국평화회의, 적십자회의 참여 ,벨기에 국교수립, 중립화중요 : 프랑스

중립추진 - 친미: 러.일 침략성 인식. 대책 중립화 . 전제조건 내정개혁. 군사력 증강필요성인식

이학균 : 미국 차관도입추진 , 군비증강

이용익 : 중립노선,프랑스우호,미국적대   친미숙청-중립화추진세력 분열.약화

다른 외교방안 : 삼국제휴

 

중립정책의 실패 배경

일본의 강력한 반대, 영국,미국의 일본 지원, 국제법.국제회의.국제기구에 과도한 신뢰, 중립화추진세력분열, 용병제 군사정책

 

 

 

추가적인 참고 자료 입니다.

 

광무 8년 1904년 기준

 

《시위 제일연대본부》

시위 제일연대본부
연대장 1명, 부관 1명, 무기주관 1명, 기관 1명, 정교 1명, 부교 1명, 참교 1명,
제1대대 대대장 1명, 부관 1명, 향관 1명, 중대장 5명, 소대장 20명, 정교 6명, 부교 25명, 참교 48명, 병졸 9백 명
곡호대 부교 1명, 곡호수 10명.
제2대대 대대장 이하는 제1대대와 같다.
제3대대 대대장 이하는 제1대대와 같다.
기병대 대대장 1명, 부관 1명, 향관 1 명, 중대장 4명, 소대장 16명, 정교 5명, 부교 22명, 참교 45명, 병졸 3백 28명.
포병대 대대장 1명, 부관 1명, 향관 1명, 군의 1명, 중대장 3명, 소대장 9명, 정교 3명, 부교 14명, 참교 20명, 병졸 2백 72명.
군악대 대장 2명, 정교 2명, 부교 2명, 참교 4명, 병졸 45명.


《친위 제일연대 본부》

친위 제일연대 본부
연대장 이하는 시위 제일연대 본부와 같다.
제1대대 대대장 이하는 모두 시위 대대와 같다.
제2대대
제3대대
공병대 중대장 1명, 소대장 3명, 군의 1명, 정교 1명, 부교 1명, 참교 6명, 병졸 1백 57명.
치중병대 중대장 1명, 소대장 3명, 정교 1명, 부교 5명, 참교 5명, 병졸 1백 83명.

《헌병사령부》

헌병사령부

사령관 1명, 부관 1명, 향관 1명, 정교 1명, 부교 1명, 참교 2명, 대대장 1명, 부관 1명, 향관 1명, 군의 1명, 수의 1명, 중대장 5명, 소대장 10명, 정교 6명, 부교 21명, 참교 22명 병졸 4백 명.


《진위대》

진위 제1연대 각 연대 본부 연대장 1명, 부관 1명, 무기 주관 1명, 기관 1명,
정교 1명, 부교 1명, 참교 1명.
제1대대 강화. 대대장 1명, 향관 2명, 부관 1명, 중대장 5명, 소대장 20명, 정교 6명, 부교·참교 73명, 병졸 9백 명, 곡호대 부교 1명, 곡호수 10명, 고수 10명.
제2대대 인천. 대대장 이하는 위와 같다.
제3대대 황주. 후에 의주로 옮겼다. 대대장 이하는 위와 같다.

 진위 제2연대
제1대대 수원. 대대장 이하는 위와 같다.
제2대대 청주. 대대장 이하는 위와 같다.
제3대대 전주. 대대장 이하는 위와 같다.

 진위 제3연대
제1대대 대구. 대대장 이하는 위와 같다.
제2대대 진남. 후에 진주로 옮겼다. 대대장 이하는 위와 같다.
제3대대 울산. 후에 경주로 옮겼다. 대대장 이하는 위와 같다.

 진위 제4연대
제1대대 평양. 대대장 이하는 위와 같다.
제2대대 의주. 대대장 이하는 위와 같다.
제3대대 강계. 대대장 이하는 위와 같다.

진위 제5연대
제1대대
덕원. 후에 원주로 옮겼다. 대대장 이하는 위와 같다.
제2대대 북청. 대대장 이하는 위와 같다.
제3대대 종성. 대대장 이하는 위와 같다.


<증설>

 평양 진위 대대 대대장 1명, 부관 1명, 향관 1명, 무기주관 1명, 정교 1명, 부교 3명, 곡호대 부교 1명, 곡호수 10명, 고수 10명, 중대장 5명, 소대장 20명, 정교 5명, 부교·참교 70명, 병졸 9백 명.

 제주목 진위 대대 대대장 1명, 부관 1명, 향관 2명, 무기주관 1명, 정교 1명, 부교 3명, 곡호대 부교 1명, 곡호수10명, 고수 10명, 중대장 5명, 소대장 20명, 정교 5명, 부교·참교 70명, 병졸 9백 명.


총합은 25298명

ps.마필-
기병대4백 필, 포병대3백 11필, 치중병대1백 11필.
합 8백 22필

 

대한제국 근대적변화

 

 

1.지방대

 

14개 지방대와 2개 진위대  ( 2개중대가 1개대대)                              아래는 주둔지

 

경기 충북 충남 전남 경북 경남 황해 평남 강원 함남 함북
수원, 강화 청주 공주 광주 대구,안동 고성 해주,황주 안주 원주 북청 종성

 

처음 200-600   1899년 400

 1900년 6월 30일 평안북도와 함경남북도의 4개 지역에서 러시아식 군제를 도입한 진위대 4천명을 편제한것을 계기로 지방대와 진위대의 통합안이 제기되어지고 7월 20일 지방군을 '진위대'로 명칭을 통일하고 개편됨에 따라 지방대는 1896년 5월 30일에 설치된 이후 4년여간 존속하다 진위대와 통합 단일화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2.진위대

 

1897년 전술단위는 대대로 편성 1개 대대를 5개중대로 지방의 진위대대는 지방대와 함께 2개중대로

 

설치된 위치는 전주와 평양이며 총병력수는 약 800명으로 이편제에 따르면 1899년 이후 지방대를 합친 지방군의 총수는 16개 대대 6,400명

 

1899년 10월 12일 조칙에 따라 러시아군편제 개편된 평양 진위대는 평양의 관서의 요충지이므로 방비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적으로 1개 대대가 5개 중대 1개 중대가 4개소대로 개편 평양진위대는 5개중대 1000여명의 병력을 확보

 

1900년6월 16일 황제 고종은 조서에서 병경수비의 중요성을 지적하면서 서북경계인 평안도와 함경도에 군사를 증강배치하여 경비를 강화하라는 지시를 원수부에 하달

이를 계기로 6월 30일 평안북도, 함경남북도에 진위대 설치

 

진위대가 전국적으로 조직이 확대발전된것은 지방대의 흡수를 통합한 이후

전국 5개 진위연대 본부와  15개 대대 주둔지의 위치

 

구분 진위 제 1연대 진위 제 2연대 진위 제 3연대 진위 제 4연대 진위 제 5연대
연대본부 경기, 강화 경기,수원 경북, 대구 평남, 평양 함남, 북청
제 1대대 강화 수원 대구 평양 북청
제 2대대 인천 충북,청주 경남, 전남 평북,의주 덕원
제 3대대 황해,황주 전북,울산 울산 강계

 

1900년 12월 19일 진위대대에서 완전히 배제되었던 전라남도 제주목에 진위대 1개 대대설치

이에 제주진위대대가 탄생되었고 편제는 5개중대로 편성 평양과 같은수준으로 편성

 

1901년 8월 이후 전국 진위대 6개연대 18개대대로 확대 개편되었고 편제상으로는 18000명에 이르는 병력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곡호대(군악대)를 각 1개 대대에 따라 편성하여 전국 18개 대대총 398명이 확장

 

3. 진위대의 활동과 성격

 

1901년이후 대한제국의 지방군사조직이 정착단계에 접어들어 발전의 기틀 마련.

1900년 7월 이후 5개연대 15개대대 편성이후 부터 이를 15개 대대중에서 3개 대대가 국경지역에 배치되어 변경방수의 임무를 수행하였고 12개 대대는 내륙및 해안 지역의 지방치안을 담당

 

기존 지방치안유지에서 점차 국경수비로 중심전환

 

 진위대는 중요 관서지방및 서북방의 치안유지및 방수임를 제대로 수행

 

 

근대적인 함선은 단 두대였다.

 

양무호(揚武號)

 

총배수량 :3432 톤
최대출력 :1750 마력
최대속도 :13.5 노트
함선크기 :전장 105미터 폭 12.5미터
보유무장 :80mm 포 4문,5mm기관포2문(각 좌우 배치)
승무원 : 72명
도입시기 :1903년 4월15일
도입예산 :55만엔(우리돈110만원-당시 국방예산 약 30%투입)

 

광제호(廣濟號)

 

총배수량 : 1,056톤
진수시기 : 1904년 6월15
인수시기 : 1904년 12월 20일
보유무장 : 3인치포 3문
통신시설 : 무선시설및 선박용 무선통신안테나인 더블렛트 2기

 

명칭

품계

현재계급

해당직책

대원수(大帥府)

황제

 

군 통수권

원수(帥府)

황태자

 

 

 

 

 

 

장급

 

 

 

대장(大將)

1품

대장

시종 무관부 무관장

부장(副將)

2품

중장

동궁배종 무관부 무관장

참장(參將)

2품

소장

원수부 총장

영급

 

 

 

정령(正領)

3품

대령

연대장(주로 시위대)

부령(副領)

3품

중령

연대장(주로 진위대)

참령(參領)

3품

소령

대대장

위관급

 

 

 

정위(正尉)

3품

대위

중대장

부위(副尉)

6품

중위

소대장

참위(參尉)

6품

소위

소대장

사관급

 

 

 

특무정교(特務正校)

무품

 원사

사병진급 상한선

정교(正校)

무품

상사

부사관

부교(副校)

무품

중사

부사관

참교(參校)

무품

하사

부사관

병급

 

 

 

상등졸(上等卒)

무품

병장

 

일등졸(一等卒)

무품

일등병

 

이등졸(二等卒)

무품

이등병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왼쪽이 양무호이고 오른쪽이 광제호이다.

 

양무호는 일본으로부터 일종의 사기를 당해서 산 배다. 원래 화물선이었는데 일본이 대포나 달고 팔아치운 것이다. 광제호는 좀 쓸만했지만 1904년이라 시기가 늦었다.

 

출처 : Europa Universalis
글쓴이 : 자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