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국, 복지지출 비중 OECD 꼴찌 수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지출 비중이 최하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노인인구에 대한 복지 지출도 OECD 평균에 크게 못 미쳤다. 하지만 2025년에는 연금지출이 실제로 증가할 노인인구보다 더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연금재정 안정화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복지 지출이 늘어나는 속도는 빨랐다. 최근 20년간 복지 지출 증가율은 연평균 16.6%로 회원국 평균(5.2%)보다 3.2배 높았으며,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한 실질사회복지지출 증가율도 2007~2012년 37%로 2위인 호주(29%)를 비롯해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는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 등 경제위기를 2차례 겪으면서 그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실업급여 기초노령연금 퇴직연금 등의 지출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http://media.daum.net/economic/newsview?newsid=20121227023307077 한국, 복지지출 비중 OECD 꼴찌 수준
GDP 대비 9.4% 그쳐… 지출 증가율은 1위
26일 보건사회연구원의 '2012 OECD 공표로 본 우리의 사회복지지출 특성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사회복지 지출 비중은 9.4%로 30개 회원국 중 멕시코(8.2%)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이는 OECD 평균(22.1%)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복지지출 1위 국가 프랑스(32.1%), 덴마크(30.2%)와의 격차는 더 컸다. 독일(27.8%), 이탈리아(27.8%), 영국(24.1%), 일본(22.4%) 등도 평균보다 높았다.
우리나라는 전체 복지지출에서 노령인구에 대한 지출 비중도 OECD 평균(40%)에 크게 못 미치는 25% 수준이었다. 일본 이탈리아 등 노령인구가 20%가 넘는 국가들은 복지 지출의 60%를 노인에 할당하고 있다. 더구나 2009년과 2025년의 노령인구 및 GDP 대비 연금지출 추계를 분석한 결과, 회원국 중 우리나라만 65세 이상 노인인구 증가율보다 연금지출 증가율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 고경환 보사연 연구위원은 "외국과 달리 연금제도가 성숙ㆍ안정화되지 않아 연금수급 대상이 적정 수준을 초과하게 된다는 뜻"이라며 "복지지출을 늘리고 내실화해 국민 체감도를 높이고, 투자지출 우선 순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