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카카오, 온라인 기사에 정부 반박 댓글 허용 논란
경향신문 송진식 기자 입력 2015.06.22. 14:03 수정 2015.06.22. 14:04다음카카오가 자사의 포털이나 모바일을 통해 유통되는 모든 언론사 기사에 대해 정부, 기업 등 이해 당사자가 직접 댓글을 달 수 있는 서비스를 도입하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다음카카오는 “소통을 위한 목적”이라는 입장이지만 언론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정부나 기업이 직접 반론·해명할 수 있도록 뉴스 화면에 별도의 공식 댓글난을 신설한 뒤, 당사자들에게 공식 댓글용 아이디(ID)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정부나 기업 등은 이 공식 아이디를 활용해 기사와 관련한 해명이나 반론, 설명 등을 자유롭게 게재할 수 있다.
![]() |
이 서비스는 해당 기사를 작성한 기자도 이용할 수 있다. 댓글을 통해 기자와 독자, 이해당사자 등이 함께 소통하는 장으로 활용한다는게 다음카카오의 생각이다.
다음카카오는 “언론사는 취재 후일담이나 후속보도를 독자와 나누는 쌍방향 소통창구로, 기업이나 정부는 기사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창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모바일의 특성상 생기는 잘못된 정보의 빠른 확산을 어느 정도 예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소통이 목적이라는 다음카카오의 설명과는 달리 이 서비스가 언론과 표현의 자유를 훼손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 포털업계 관계자는 “정부나 기업은 이미 별도의 홍보조직 등을 통해 언론 대응이 가능한데, 공식 댓글을 달 수 있도록 허용하는건 정부나 기업의 입장을 과도하게 배려한 조치”라며 “기사를 작성하는 언론사의 경우 정부와 기업의 즉각적인 대응에 부담을 느껴 취재나 기사 작성에 큰 제약을 받게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가 온라인 여론을 단속하려는 현 집권세력의 정치적 계산에 따른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한 IT업계 관계자는 “다음카카오의 경우 작년부터 감청 논란 등으로 줄곧 정부와 불편한 관계였고, 최근에는 대규모 세무조사도 받았다”라며 “다음카카오가 정부에 유리하게 댓글 제도를 바꾸는 것에 대해 자연스럽게 의혹이 제기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출처: http://media.daum.net/digital/others/newsview?newsid=20150622140445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