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방부 F-35 구매 대수 줄 듯..한국에도 '불똥'
한겨레 입력 2015.09.30. 20:10 수정 2015.09.30. 22:40
[한겨레]미 국방 예산 증액 불투명
F-35 구매 대수 축소땐
'생산 확대로 단가 절감' 차질
한국 F-35 구매 단가도 영향
미국 국방부는 30일(현지시각)까지 내년도 예산안이 미 의회에서 원안대로 통과하지 못할 경우 내년도 F-35 전투기 구매 대수를 19대나 줄여야 할 것이라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29일 보도했다. 이는 F-35의 생산 대수를 확대해 대당 생산단가를 낮추려던 제조사 록히드마틴의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우리나라의 F-35 구매 단가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미국의 2016회계연도는 올해 10월1일부터 내년 9월30일까지다. 따라서 미 의회는 9월30일까지 예산안을 처리해야 하지만, 30일 오전까지도 협상이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미 언론들은 민주·공화 양당이 임시방편으로 지난해 예산에 준해서 편성하는 준예산을 오는 12월11일까지 집행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또 상당수 전문가들은 양당이 내년 초까지 예산안에 합의하더라도 국방비의 증액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예산안 파행으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곳은 미 국방부다. 국방부는 올해 예산한도인 4960억달러를 내년에도 적용해야 하는데, 이는 애초 요청한 총액보다 380억달러나 줄어든 것이다. 특히, 미 역사상 가장 비싼 무기 프로그램인 F-35는 내년에 110억달러를 투입해 57대를 구입할 방침이었으나, 준예산 적용 시에는 86억달러만 배정받아 38대만 구입할 수 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이는 앞으로 3년간 연간 생산 대수를 현재 40대에서 120대로 확대함으로써 F-35 생산 비용을 감축하려던 노력에 지장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록히드마틴은 현재 대당 1억800만달러(약 1280억원)에 이르는 F-35 생산단가를 2019년께 8500만달러(약 1007억원) 수준으로 낮춰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했으나, F-35의 최대 구매처인 미 국방부의 예산이 증액되지 못하면 이런 목표는 달성하기가 어렵다. 미국은 예상 생산 대수 3000여대 중 2400여대를 구입할 예정이다. 한국은 2018년부터 3년간 40대를 사기로 했다.
출처: http://media.daum.net/foreign/america/newsview?newsid=20150930201010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