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韓)·일(日) 원산지 차별 나이키, 기부금도 쥐꼬리?

뉴 턴 2015. 12. 16. 11:10

한(韓)·일(日) 원산지 차별 나이키, 기부금도 쥐꼬리?

세전이익 1.5% 기부 원칙, 일(日)·중(中)은 기부금 홈피에 별도 공표 '특별 관리'뉴스1 | 류정민 기자 | 입력 2015.12.16. 06:20

"나이키가 국내에서 제대로 사회공헌을 하고 있다면 떳떳하게 밝히지 못하는 이유가 뭐죠?"

나이키가 올 한 해 사상 최대실적을 올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에서 사회공헌도는 기대에 못미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3국 중 한국 나이키의 정보가 가장 베일에 가려 있는 등 은근히 차별받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16일 나이키에 따르면 이 회사는 전 세계적으로 매년 벌어들인 세전이익의 1.5%를 기부하는 원칙을 세워두고 있다. 세전이익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에서 법인세 등의 세금을 공제하기 이전의 금액을 말한다.

나이키의 2013년 사회공헌 금액. 동아시아 3국 중 중국, 일본은 개별적으로 표시하는 등 중점 관리하고 있지만 한국은 빠져 있다.(출처 나이키닷컴)© News1
나이키의 2013년 사회공헌 금액. 동아시아 3국 중 중국, 일본은 개별적으로 표시하는 등 중점 관리하고 있지만 한국은 빠져 있다.(출처 나이키닷컴)© News1

나이키는 지난 2013년 회계연도에 전 세계적으로 총 5270만달러(약 623억원)를 기부했다. 그해 나이키가 32억7200만달러(3조8700억원)의 세전이익을 거둔 것을 감안하면 기부금 규모는 세전이익의 1.61%였다.

기부는 현금과 물품 2가지로 이뤄지는데 2013년 기부액 중 3490만달러(412억7200만원)는 현금으로 기부했고, 현물로는 1780만달러(210억5000만원)를 지원했다.

이 같은 나이키의 금액을 중국이나 일본의 고객들은 알 수 있지만 한국 소비자들은 헤아리기 어렵다.

나이키는 동아시아 3개 국가 중 중국(2013년 380만 달러), 일본(10만달러)은 개별적으로 기부액을 홈페이지에 공지하고 있지만 한국은 따로 밝히지 않고 있다. 한국은 신흥시장을 뜻하는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타 국가와 함께 뭉뚱그려 표기돼 있기 때문이다.

나이키가 최근 종신 계약을 맺어 화제가 되고 있는 미국 프로농구 NBA스타 르브론 제임스를 '르브론 XIII' 농구화를 예로 들어보자. 국내 소비자가 정가 22만9000원을 내고 이 농구화를 사면 나이키는 약 3만4500원(세전이익이 매출의 15% 정도라고 가정할 경우)의 세전이익을 거둔다. 나이키의 원칙대로라면 이 세전이익의 1.5%에 해당하는 약 500원을 기부해야 한다. 달리 말해 한국 소비자는 르브론 XIII 농구화 한켤레당 약 500원을 사회에 공헌하는 셈이다.

그러나 한국 소비자들은 이 500원이 제대로 기부가 되고 있는지, 또 어떻게 쓰이는지 알 길이 없다. 뉴스1은 나이키 측에 사회공헌이나 기부금 현황 내용을 알려달라고 요청했지만 나이키는 구체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나이키의 기부액 규모는 매출과 순이익 규모 등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관련업계에서는 나이키의 국내 사업 규모와 매출 성장세 등을 감안하면 연간 순수 기부액만 15억원에서 20억원 사이는 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나이키는 최근 한국을 일본이나 중국에 비해 유독 차별하는 행위가 잇따라 알려져 여론의 뭇매를 맞은 바 있다. 나이키코리아는 한국 홈페이지에 동해를 한글로 '일본해'로 표기했다가 뉴스1 보도 후 '동해'로 수정했다. 또 같은 모델의 제품이라도 한국에는 보스니아나 베트남산을 판데 비해 일본에는 이탈리아, 한국산 등을 파는 등 원산지를 차별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곤욕을 치르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나이키는 자사 제품 판매를 위한 스포츠 마케팅과 연관된 기부활동을 주로 하는 기업으로 해당 지역사회에 녹아드는 데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며 "한국 소비자들이 나이키를 일방적으로 짝사랑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문제"라고 말했다.


출처:http://media.daum.net/economic/consumer/newsview?newsid=20151216062021824